* 출처 : http://tradedoctor.kotra.or.kr/bp/cn/gw/BPCNGW011M.html?BBS_ID=19&ARTICLE_ID=5012041&MENU_CD=M00001&UPPER_MENU_CD=M00002&MENU_CD2=M00005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중국의 헤어케어제품의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약 5억 달러(약 300억 위안)로 전년 대비 15.4% 성장함.

 

최근 3년간 중국 샴푸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 천 달러,%)

 

구분

2011

2012

2013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370,589

13.1

426,341

15

491,932

15.4

 

자료원 : 데이터 모니터(Datamonitor)

     

□ 시장전망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소비자 (구매)측면

     소비자가 헤어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본적인 기능을 갖춘 샴푸보다는 다양한 기능을 함유한 헤어케어제품에 대한 수요 확대

  - 소득, 소비 증가 등 거시경제측면

     개인의 소득수준 향상으로 헤어케어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 경제 성장으로 인한 중간소득층의 확대와 여성의 미용의식 고조로 헤어케어에 대한 니즈(needs)가 확대됨.

  - 제품개발, 품질향상

     헤어케어제품 관련 소비인구가 증가하고, 구매력을 갖춘 시장이지만, 중국 내 헤어케어 제품은 변화하고 있는 중국 소비자들의 요구를 잘 반영하지 못하고, 브랜드 체계가 잘 잡혀져 있지 않음.

     중국의 헤어케어 시장은 경쟁 체계가 잡히지 않은 지속 성장형 시장이기 때문에 중,장기적 전략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고 품질을 향상시킨다면 높은 판매율을 기대할 수 있음.

  - 경쟁국 특성

     미국의 대표적인 제조업체 P &G는 팬틴, 리조이스, 비달사순 등 중국 헤어케어시장에서 가장 점유율이 높은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브랜드가 중국 헤어케어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0%가 넘음.

     적극적인 마케팅과 광고를 활용하여 수입 헤어케어제품 중 중국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가장 높음.

 

 ○ 무역관 전망

  - 샴푸를 치약과 같은 생활용품으로 인식하던 단계에서 피부 타입에 맞춰 신중하게 고르는 폼 클렌저와 같은 화장품으로 분류하기 시작함. 소비자들이 샴푸를 하나의 기능성 화장품으로 받아들인 신호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은 프리미엄 샴푸 시장의 돌풍을 예고함.

  - 세계 헤어케어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3.4%이지만 향후 세계 헤어케어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남녀노소 불문하고 머릿결과 두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샴푸 소비자가 다양한 계층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 농어촌 지역의 경우 아직까지 헤어제품들의 시장침투가 매우 저조한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역으로 미래의 성장유망성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음.

  - 반면 도시 지역에는 소비자들의 헤어케어 제품 구입패턴에 발 빠른 변화가 눈에 띄고 있음.

  - 지역 간 소득 불균형 및 헤어케어에 대한 소비자 인식 등은 중국 내 지역별 소비패턴에 큰 영향을 끼침.

      

 ○ 소비자 구매 동기

  - 샴푸가 소모품의 성격상 문화적 요인보다는 제품의 품질, 사용효과 및 가격 등이 제품구매 결정요인으로 크게 작용함.

  - 중산층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제품 가격에 대한 민감도는 줄어들고 제품 구매 시 품질, 브랜드에 대한 고려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

  - 중국 한 매체의 조사에 따르면 제품의 효능, 가격, 브랜드, 향, 포장 등 각 순서에 따라 제품을 고려 하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소비자들에게 샴푸제품 선택의 큰 동기가 제품의 효능(34%)임을 알 수 있음.

     

□ 수입동향

     

 ○ 개관

  - 중국의 샴푸제품 수입은 2013년 기준 4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0.1% 성장함.

  - 주요 수입국은 태국, 일본, 한국 등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제품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완만한 수입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기존의 시장에서 탈피한 프리미엄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로 그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됨.

 

□ 중국의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한국수입통계 포함)

     

중국의 국가별 샴푸 수입현황(HS Code : 3305.10)

                 (단위 : 천 달러,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0

총계

32,205

45,363

 45,411

100

100

100

0.1

1

태국

 7,916

 14,788

 15,521

32.60

34.18

34.68

5.0

2

일본

 11,391

 14,963

 6,385

32.99

14.06

49.91

-57.3

3

한국

3,098

 3,440

 5,559

7.58

12.24

13.57

61.6

4

프랑스

 2,632

 2,204

 3,337

4.86

7.35

11.53

51.4

5

독일

 1,783

 3,268

 3,016

7.20

6.64

7.81

-7.7

6

호주

 248

 868

 2,400

1.91

5.29

1.09

176.6

7

스페인

1,565

 2,223

 2,139

4.90

4.71

6.86

-3.8

8

홍콩

17

18

 1,765

0.04

3.89

0.07

9,856.6

9

중국

1,092

 967

 1,517

2.13

3.34

4.78

 56.9

10

미국

 999

 1,121

 1,306

2.47

2.88

4.38

16.4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 규제 제도

 

 ○ 필수 인증

  - 샴푸는 화장품으로 분류되어 화장품 행정허가 책임회사 등록, 샘플검사, 화장품 행정 허가증 또는 위생허가증의 등록절차를 거쳐야 함.

  - 중국에서 판매하는 화장품들은 ‘제품 사용설명 화장품 통용라벨 GB5296.3-20 08’의 표준에 부합해야 함. 이 표준은 화장품 포장 시 소비자들이 명확히 볼 수 있도록 첨가량에 따라 표시성분을 표기 하도록 되어있음.

     

□ 관세율

 

 ○ 관세율

 

HS CODE

관세율

보조단위

3305.10

6.5%

KG

 

 

 ○ 통관 시 유의사항

  - 화장품 위생행정허가 또는 위생허가증을 획득하고 검역검사를 거쳐 수출입화장품심사증서(出口化标签审证书)를 받아야 비로소 세관통과가 가능함.

 

     

□ 주요 유통채널

 

 ○ 외국산제품들은 주로 중국 현지의 수입상 및 무역업체와 협력하여 제품을 유통시킴. 수입상 및 무역상들은 기타  판매상이나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함.

  - 외국생산업체—중국수입상/무역업체—판매상—소비자

  - 외국생산업체—중국수입상/무역업체—미용실—소비자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주요 경쟁제품 현황

 

제조업체명

브랜드명

제품 사진

가격(소비자가격)

원산지(수출국)

P&G

飞丝

(head&shoulders)

22.9 위안

(용량 : 200ml 기준)

미국

중국 LOREAL

유한공사

欧莱

(LOREAL)

21 위안

(용량 : 200ml 기준)

프랑스

 라팡(拉芳)

유한공사

라팡

(拉芳)

14 위안

(용량 : 200ml 기준)

중국

아모레퍼시픽

()

28 위안

(용량 : 200ml 기준)

한국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한국산 스킨 케어 및 미용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샴푸,린스 등 한국산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이 커짐. 또한, 한류 영향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도도 높아졌음. 그러나 아직 한국의 헤어제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 내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은 편은 아님.

 

 ○ 선호 브랜드

  - 려() : 기존의 샴푸기능에 탈모를 예방하는 기능적인 요소와 더불어 한국에서의 유행 소식이 전해지면서 판매에 가속도가 붙었음.

  - 케라시스 : ‘애경’의 케라시스는 제품은 고유의 향으로 인해 매출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2014第十九南京美容美品博

전시회명(한국어)

2014 중국 남경 미용미발 화장용품 박람회

전시품목

1.미용제품 : 스킨케어, 향수, 바디케어, 메이크업제품, SPA, NAIL,

TATOO,건강증진 제품 등

2. 헤어제품 : 샴푸, 염색 관련 제품, 발모제품, 헤어 악세사리 등

3. 미용기기 : 뷰티, 헤어, 바디 세이프 관련 기기, 미용 가구, 가운 등

4. 포장재료용품 : 박스류, 장식 및 인쇄

5. 기타 : 교육 훈련 기구, 전문 미디어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중국/남경(南京)/매년 2회(06,11월) 개최

규모(참가업체수)

20,000여 개

개최기간(2014년)

2014.05.22~05.24

웹사이트

http://www.jshs365.com/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현지 바이어 고려사항

  시장의 특성상 바이어들이 물품을 직접 사용해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극적인 시연활동이 필요함.

  바이어와의 원활한 거래를 위해 기본적인 이메일/전화 중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어야 함.

  한국제품에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를 인지해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점검하고수출을 위해 필요한 인증 등의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함.

  사전에 업체와 바이어들과의 정기적인 교류 및 상담 시 제품의 품질을 좀 더 어필할 필요성이 있음.

     

□ 마케팅 방안 및 타겟 고객층

 

 ○ 지역별 특성에 맞춘 샴푸제품 구성

  제품 특성상 소비자의 연령대보다는 거주지가 구매패턴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므로 특정 연령층의 단골 고객 확보에 집중한 투자나 전략은 피하고지역에 맞춘 전략을 세우는 것이 유리함.

  화동지역 및 서북지역 상해를 중심으로 중국내 활발한 경제 발전을 이루고 있는 화동지역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특화된 제품이나 고품질 제품을 선호함프리미엄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므로 다기능성에 초점을 둔 샴푸제품을 어필해야 함.

  화북 및 화동지역 수입제품과 로컬 제품의 시장경쟁이 치열함소비자들은 대체로 제품의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높으므로 천연샴푸무실리콘 샴푸 등 건강에 기반을 둔 샴푸제품 공략

  화남지역 세트키트 등과 같이 선물용 샴푸세트 제품을 구성하여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

  서남지역 브랜드 충성도 낮고가격에 민감하므로 저가제품을 공략

 

 ○ 중국의 온라인 및 SNS 활용

  -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微博)와 '중국판 카카오톡웨이신(微信), '중국판 페이스북런런왕(人人)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가고 있음.

  중국 헤어부문 시장에서 인지도가 낮은 한국제품이 저비용과 고효율을 누릴 수 있는 SNS을 통해 마케팅을 시도한다면 기업 브랜딩과 높은 판매율을 창출할 수 있음.

  진입 장벽이 다른 유통채널보다 낮은 온라인 시장을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데이터 모니터, NAVER, BAIDU

Posted by Pass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