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3, 4선 도시 공략 마케팅 방안은?
- 대형장소 및 광장 등에 설치한 LED 스크린 광고효과 높아 -
- 음악과 오락 결합한 홍보방식 인기 많아 -
□ 커피 및 마스크팩, 4선 이하 도시 신규 진입 유망품목으로 분류
○ 영국의 시장조사기관 칸타 월드패널 컴테크(Kantar Worldpanel Comtech)는 2011년 11월 2일부터 1년간 중국 4만여 개 도시를 대상으로 조사를 해서 4선 및 이하 도시의 소비 경쟁력 품목과 적절한 마케팅 방안을 제시함.
- 중국의 1, 2, 3선 도시는 직할시, 성 소재지, 지급도시(地级市)이며 4선 및 이하 도시는 현급 도시와 그 이하 도시를 가리킴.
- 대형, 중형 도시는 커피, 마스크 팩 등이 보편화됐지만 4선 및 이하 도시에는 커피와 마스크팩 등이 최근 진입함.
- 조사 기간 중 전국적으로 커피와 마스크팩을 사용한 가정이 중국 전체의 40% 미만이어서 중소도시로 갈수록 시장성이 있는 품목으로 분류됨.
- 4선 및 이하 도시에서 잘 팔리는 품목은 보디샴푸, 초콜릿 등이며 1년 동안 중국 전체 가정의 40~80%가 보디샴푸와 초콜릿을 구매한 적이 있음.
□ 3, 4선 및 이하 도시, 중소 로컬 브랜드 우세
○ 최근 몇 년간 주요 소비재 브랜드는 4선 및 이하 시장을 공략하고 있음.
- 조사 기간 중 신규 진입 상위 24개 소비재 브랜드(칸타르 월드패널 컴테크가 자체 선정한 것으로 세부 기업 내역 미발표)의 4선 및 이하 시장의 매출증가율은 평균 12.2%을 기록함.
○ 3, 4선 및 이하 도시민의 소득 증가로 소비가 크게 늘고 있으나 대부분 중소 국산 브랜드 소비에 집중
- 안타(安踏), 터뿌(特步) 등 중소 로컬 브랜드 전문점이 흔히 눈에 띄며 화장품도 바이췌링(百雀羚), 샹이번차오(相宜本草) 등 로컬 저가 브랜드의 인기가 높음.
- 외자 브랜드는 코카콜라, 펩시코 등 소수만 광범위하게 유통됨.
□ 브랜드 인지도 낮으며 가격에 민감
○ 4선 이하 도시 소비자들은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약하기 때문에 도처에서 볼 수 있는 브랜드면 무조건 좋은 브랜드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함.
- 옥외 광고에 노출되는 브랜드나 주변 지인들이 많이 사용하면 브랜드에 큰 거부감없이 받아들임.
- 국제적이고 유명한 브랜드보다는 지인의 의견을 더 중시함.
- 4선 이하 도시 일반 소비자와 다르게 이들 지역의 부유층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잘 인식하고 대도시에서 브랜드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강함. (1, 2선 도시에는 브랜드 종류가 많고 할인폭도 크며 결과적으로 가격이 3, 4선 도시보다 저렴하다고 생각하기 때문)
○ 4선 이하 도시 소비자들이 가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저가 제품으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 P &G는 3, 4선 시장의 소비자를 공략하기 위해 10위안 이하 리조이스(Rejoice) 시리즈 제품을 출시함.
- 2006년부터 P &G는 200ml당 9.9위안의 샴푸를 출시해 3, 4선 이하 소비자의 환영을 받고 있음.
'중국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세탁세제시장, 이제는 '액체세제' (0) | 2016.05.13 |
---|---|
중국 생리대시장, 지속적인 성장세 보여 (0) | 2016.05.13 |
★ 신창타이(뉴노멀 New Normal) 시대의 중국 생활 소비재 시장 (0) | 2016.05.13 |
성장하는 중국 화장품(보디케어) 시장 (0) | 2016.05.13 |
中, 색조화장품시장 급성장 (0) | 2016.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