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세탁세제시장, 이제는 '액체세제'
- 초고속 성장 중, 발전잠재력 막대 -
- 해외 유명기업의 중국시장 진출로 더욱 치열한 경쟁 예상 -
□ 무한한 잠재력의 중국 세척용품 시장
○ 빠르게 성장 중인 세척용품 시장
- 七五(제7차 5개년 계획, 이하 생략), 八五, 九五, 十五의 20년간 중국 세척용품 시장은 각각 2.73%, 10.54%, 1.35%, 9.57%의 연간 성장률을 보임.
- 1978년 90만2400톤이던 총 생산량은 2008년에 이르러 672만6400톤까지 늘어났으며, 이는 7.45배 증가한 규모임.
- 1978년 단 1.0kg 정도였던 1인당 평균소비량은 2008년 5.0kg까지 증가했음.
- 2010년에는 총 생산량이 752만 톤, 1인당 평균소비량은 5.8kg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아직 국제 평균인 7.8kg에 미치지 못하는 현재 상황과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는 시장상황으로 미뤄볼 때 미래의 시장 발전 잠재력은 매우 크다 할 수 있음.
○ 세계 최대시장 중국
- 중국은 아시아 최대의 계면활성제 소비시장으로 2009년 중국 내 세척용품의 총 생산량은 781만2000톤이며, 이는 전년대비 9.7% 증가한 수치임.
- 이 중 합성세척제 생산량은 692만8600톤으로 전년대비 9.3% 상승함.
자료원 : 중국국가통계국
중국 2009년 합성세척제 5대 생산지역
(단위 : 만 톤)
순서 | 성(省)별 | 생산량 |
1 | 광둥성 (廣東省) | 219.67 |
2 | 안후이성 (安徽省) | 63.66 |
3 | 쓰촨성 (四川省) | 61.84 |
4 | 저장성 (浙江省) | 55.55 |
5 | 허난성 (河南省) | 43.98 |
□ 액체세제시장의 과거, 현재, 미래
○ 과거 부진했던 액체세제상품
- 액체세제는 중국에 출시된 지 이미 10년이 넘었으나, 높은 가격 및 고정적인 소비관념으로 시장의 주도제품으로 성장하지 못함.
- 2008년 중국 분말세제의 시장규모가 200억 위앤에 달한 반면, 액체세제는 40억7000만 위앤 정도에 그침.
○ 드럼세탁기 사용자의 증가에 따른 액체세제 수요 증가
- 현재 중국은 부유층 및 중산층의 급격한 증가로 드럼세탁기 사용자가 꾸준히 증가함.
- 드럼세탁기에 특성화된 액체세제 수요도 높아짐.
- 2005년 중국 드럼세탁기 판매량이 전년대비 11% 상승한 이래, 2008년 중국 세탁기 시장에서 드럼세탁기 판매량 비중은 전년대비 15.9%, 매출액은 33.9%로 꾸준히 상승함.
- 드럼세탁기 사용 증가에 따라 프리미엄 세제에 대한 수요 역시 높아지고 있어 중국 액체세제 시장에 대한 전망은 매우 밝다고 평가됨.
○ 미래 액체세제용품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전망
- 최근 5년 간, 중국 액체세제용품 시장은 10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반면, 분말세제용품은 성장 속도가 둔화돼 10% 정도의 성장률을 기록
- 현재 대부분의 액체세제용품은 중국 내에서 판매 호조세를 보이고, 미래시장 발전 가능성 역시 아주 높은 것으로 평가됨.
- 2010년에 접어들어 액체세제는 중국 세제시장의 19%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며, 2015년 이후에는 시장의 30%가량을 점유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 세탁세제시장의 특성
○ 발전기 진입단계의 액체세제시장
- 현재 중국의 액체세제시장은 막 발전기에 진입해 광범위한 소비자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대량생산이 적합하지 않음.
- 분말세제에 비해 액체세제의 가격이 상당히 높은 편이나, 액체세제 판매량의 증가 속도를 감안할 때 시장의 잠재력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됨.
- 향후 대형 생산기업이 중국시장에 진출할 경우, 일부 판매 경로 및 관련 생산기초가 미비한 중소기업은 시장 진출에 대한 리스크가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됨.
○ 대도시에서만 사용되는 액체세제
- 현재 중국 액체세제시장은 경제력이 비교적 발달한 대도시 매장에 국한됨.
- 특히 분말세제의 소비량이 많은 중소도시 및 농촌에서 액체세제의 시장점유율은 아주 낮은 편임.
○ 강세를 띠는 중국 국내업체
- 藍月亮는 시장점유율 45.4%를 기록하는 한편, 15개월 연속 전국 판매량 1위를 고수하는 중국 내 액체세제 1위 브랜드임.
- P&G, Unilever 등 해외유명업체의 부재로, 蓝月亮, 威露士 등 국내업체 간의 경쟁 심화
- 2009년 9월 Unilever는 시장가격보다 30%가량 낮은 가격의 ‘奧妙’를 출시, 이후 2010년 5월 P &G가 액체세제 시장에 진출했음.
2009년 주요 액체세제 생산업체
순서 | 생산업체 | 브랜드 |
1 | 廣州藍月亮實業有限公司 | 藍月亮 |
2 | 威萊(廣州)日用品有限公司 | 衛新-威露士 |
3 | 西安開米股份有限公司 | 開米 |
4 | 北京綠傘化學有限公司 | 綠傘 |
5 | 洛娃科技實業集團有限公司 | 洛娃 |
6 | 聯合利華 | 奧妙 |
7 | 廣州立白企業集團有限公司 | 立白 |
8 | 安莉(中國)日用品有限公司 | 絲白 |
2009년 중국 3대 액체세제 전문 생산업체
廣州藍月亮實業有限公司 | |||
주소 | 廣州市黃埔區云埔工業區埔南路36# | ||
TEL | 86-20-85556668 | FAX | 86-20-82058583 |
홈페이지 | www.bluemoon.com.cn | ||
대형 세척제 생산 업체로 액체세제시장에서 45.4%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함 |
威萊(廣州)日用品有限公司 | ||
주소 | 廣州市天河區天河路228#廣晟大廈26層 | |
TEL | 86-20-38330368 | FAX | 86-20-38331798 |
홈페이지 | www.walch.net.cn | |
광저우에 소재한 퍼스날케어(personal care)용품 및 가정 세척용품 생산 업체로 10여 개 브랜드를 보유하며, 500여 종의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함. 현재 톈진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 중임 |
西安開米股份有限公司 | ||
주소 | 西安市長安中路86#開米大廈7層 | |
TEL | 86-29-85225666 | FA | 86-29-85261333 |
홈페이지 | www.kaimi.com.cn | |
첨단기술기업으로 큰 규모를 갖춘 액체세제 기업 중 하나임. 현재 중국 전역에 30여 개의 사무실을 |
중국산 액체세제 브랜드별 가격비교
| 제품명 | 이미지 | 가격(위앤) |
1 | 藍月亮 | | 30위앤/1L |
2 | 威潔士 | 42위앤/2L |
3 | 開米(유아용) | 45위앤/500g |
자료원 : 직접 조사
□ 해외업체 상품 동향
○ 해외 유명 브랜드 중국 현지 생산
- P &G, Unilever 등의 해외 유명 브랜드는 현지직접투자 형식을 통해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
○ 중국진출 한국 기업 피죤
- 2009년 7월, 톈진과 베이징에서 액체세제 ‘액츠’를 런칭함.
- 한중 수교 직후인 1992년 중국시장에 진출, 톈진에 현지공장과 법인을 설립함.
- 베이징(北京), 톈진(天津) 및 동북 3성 지역을 중심으로 생활용품을 판매함.
○ 중국 액체세제 시장의 주요 수입 국가 - 미국, 독일, 일본, 한국 등
- 2009년 미국 제품 수입액은 1423만 달러로 총 수입액의 27.7%를 차지해 중국 액체세제 시장의 제 1수입국이 됨.
- 한국제품 수입액은 337만8000달러로 전년대비 72.9% 상승함.
□ 유통채널 : 생산업체-대행 에이전트-구매자/생산업체-구매자 해외생산업체-수입 대행에이전트-구매자
○ 국산제품
- 대행 에이전트를 통해 제품을 판매함. 일부 업체는 해당 지역에 직접 사무소를 설립해 제품을 판매함.
○ 수입제품
- 주로 수입 대행에이전트를 통해 제품을 수입한 후 기타 대행 판매업자에게 도매형식으로 판매
□ 수입정책 및 관세율
2007~09년 국가별 수입 통계
(단위 : 천 달러, %)
국가 | 2007 | 2008 | 2009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총계 | 27,114 | 12.1 | 38,256 | 41.1 | 51,278 | 34.0 |
미국 | 8,783 | -12.8 | 12,539 | 42.8 | 14,229 | 13.5 |
독일 | 3,898 | 34.8 | 6,221 | 59.6 | 11,131 | 78.9 |
일본 | 5,111 | 31.2 | 6,563 | 28.4 | 7,687 | 17.1 |
한국 | 979 | 2.3 | 1,953 | 99.4 | 3,378 | 72.9 |
태국 | 1,940 | -35.6 | 588 | 55.1 | 2,786 | 373.9 |
대만 | 1,313 | 6.4 | 1,547 | 17.9 | 1,940 | 25.4 |
자료원 : www.kita.net
수입 관세율
HS Code | 세율 | 단위 | 비고 |
34022090 | 10% | KG | - |
자료원 : 중국세관 통계
□ 현지 진출을 위한 KBC 의견
○ 분말세제의 단점 보완 제품 개발 필요
- 세탁가루가 날려 호흡기 손상 및 피부 자극, 세탁 후 찌꺼기 발생, 습한 곳 보관 시 굳는 등 분말세제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친환경적·경제적 상품 개발 필요
○ 가격 경쟁력 확보 필요
- 분말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으로 분말세제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높음. 이 때문에 액체세제의 가격 문제 해결이 필수과제임.
자료원 : KOTRA 칭다오KBC 자체 조사자료
'중국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세탁세제 시장동향 (KOTRA우한 무역관) (0) | 2016.05.13 |
---|---|
중국 세탁용 세제 시장동향 (0) | 2016.05.13 |
중국 생리대시장, 지속적인 성장세 보여 (0) | 2016.05.13 |
중국 3, 4선 도시 공략 마케팅 방안은? (0) | 2016.05.13 |
★ 신창타이(뉴노멀 New Normal) 시대의 중국 생활 소비재 시장 (0) | 2016.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