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중국은 2008년에 미국 발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대외수출이 부진함에 따라 전반적인 생산량이 감소했으나, 2009년 이후로 기본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2013년에는 448만3700톤으로 전년대비 6.5% 증가한 것으로 집계
- 증감률의 변화기복이 비교적 심한 편으로 특히 2009년 이후 2012년을 제외하고 지속적인 둔화세를 보임.
- 이는 중국 내 통계대상에 포함된 기업 수의 변화가 일부 작용한 결과임.
2004~2013년 중국의 세탁용 세제 생산량 추이
(단위: 만 톤, %)
□ 시장전망
○ 2014년 기준, 중국에는 농축세제, 무인(無磷)세제, 효소세제, 산소 표백계 세제 등이 있음.
- 농축세제는 에너지 절감, 화학제품 사용 감소 등을 타이틀로 홍보된 제품이나 전반적인 규모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무인세제, 효소세제는 환경보호 의식이 개선됨에 따라 수요 상승
- 산소 표백계 세제는 탈색방지기능, 우수한 세척력을 지닌 기능성 친환경 제품이나 아직 시장 인지도가 높지 않은 편
- 환경보호 의식의 꾸준한 향상과 기능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향후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
○ 중국 정부가 농촌지역 가전제품 소비 촉진을 위해 시행했던 '가전하향(家電下鄕)’ 정책(3차 ‘가전하향’ 기준: 2009년 9월~2013년 1월) 이후 농촌지역의 세탁기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세탁기 전용 세제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기대됨.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분석
- 주요 고객층은 가정주부와 젊은층이며 젊은 고객층은 대부분 소가족형태로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더라도 기능성이 탁월한 품목을 우선시함.
- 식구 수가 비교적 많은 대가정(大家庭)형태에서는 대용량, 가격대비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선호함.
- 학생이 있는 가정은 친환경성과 세척력을 우선 고려함.
- 노인층은 가격에 민감하며 기능성 또는 친환경성 등의 요소를 크게 고려하지 않음.
○ 구매 동기 및 패턴
- 세제는 브랜드 충성도가 매우 높은 제품
- 친환경, 피부자극 최소화 등 사용하는 제품과 차별화된 기능을 가진 제품일 경우에만 다른 브랜드 제품을 시범 구매
- 도시가정의 경우 기능성, 친환경성과 세척력을 두루 겸비한 제품을 선호함.
- 농촌지역은 친환경성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고 세척력을 우선시하나 기능성을 따지는 소비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
- 특히 여름철에 친환경적, 탈색방지의 이유로 표백계 세제에 대한 수요 증가
□ 수입동향
○ 2014년 기준 근 3년간 중국의 세탁용 세제 수입액은 333만3400달러로 지속적인 감소 추이를 보였으며 2013년도 대비 12.2% 하락함.
- 중국 내 기술력 향상으로 인해 국산 중저가 세제에 대한 의존도가 상승함.
- 수입산 제품은 보통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수입규모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 또한 수입단가는 1㎏당 1.5~1.6달러인 반면 수출단가는 0.6~0.7달러 수준으로 2~3배의 차이 존재
중국 세탁용 세제 수입현황(HS Code 34022010 기준)
(단위: US$ 천, %)
2011년 | 2012년 | 2013년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4,087.0 | 0.5 | 3,797.1 | -7.1 | 3,333.4 | -12.2 |
자료원: 중국세관통계
□ 2011~2014년도 중국 세탁용 세제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 한국은 중국의 세탁용 세제 제1위 수입국으로 2013년도 수입액이 103억2700달러에 달해 전체의 31% 차지
- 2위는 인도네시아로 전체의 14.4%를 차지
- 그 뒤로 일본, 미국, 태국 등이 각각 3~5위 차지함.
- 중국은 3년간 6위를 차지했으며 수입비중이 점차 상승하는 추세임.
- 중국산 역수입 제품의 증가는 중국의 수입의존도 하락과 상통하기 때문에 향후 수입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 중국에서의 역수입제품이란 중국 내에서 상당부분 가공된 제품이 홍콩 등 해외로 수출돼 재가공후 다시 중국내로 수입되거나, 완제품이 해외 유통망을 통해 재수입된 것을 뜻함.
중국 세탁용 세제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3402201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 총계 | 4,087.0 | 3,797.1 | 3,333.4 | 100 | 100 | 100 | -12.2 | |
1 | 한국 | 1854.2 | 1008.1 | 1032.7 | 45.4 | 26.5 | 31.0 | 2.4 | |
2 | 인도네시아 | 251.0 | 361.3 | 479.1 | 6.1 | 9.5 | 14.4 | 32.6 | |
3 | 일본 | 238.4 | 338.7 | 278.4 | 5.8 | 8.9 | 8.4 | -17.8 | |
4 | 미국 | 255.9 | 302.8 | 272.9 | 6.2 | 8.0 | 8.2 | -9.9 | |
5 | 태국 | 88.6 | 165.7 | 261.3 | 2.2 | 4.4 | 7.8 | 57.7 | |
6 | 중국 | 71.3 | 143.0 | 202.2 | 1.7 | 3.8 | 6.1 | 41.3 | |
7 | 베트남 | 820.1 | 844.2 | 188.8 | 20.1 | 22.2 | 5.7 | -77.6 | |
8 | 폴란드 | 1.3 | 131.1 | 123.0 | 0.03 | 3.5 | 3.7 | -6.2 | |
9 | 대만 | 115.9 | 129.0 | 120.7 | 2.8 | 3.4 | 3.6 | -6.5 | |
10 | 독일 | 179.8 | 169.5 | 108.4 | 4.4 | 4.5 | 3.3 | -36.1 |
자료원: 중국세관통계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필수 인증
- 중국으로 수입되는 세탁용 세제는 수입 전에 반드시 중문라벨을 신청해야 하며 중문라벨은 일반적으로 수입대행사를 통해 신청함.
- 중문라벨 신청을 위해 ① 중문 판매 라벨 양식 제공 ② 원 라벨 샘플 및 중문 문건 ③ 원산지 증명 또는 자유 판매 증명서 ④ 신청업체 사업자등록증 복사본 ⑤ 해외에서 제공한 위생증명서(HEALGH) 및 품질검사국에서 요구하는 기타 증서와 재료 등을 서류형식으로 제출해야 함.
○ 이 밖에 중국은 무인(無磷)세제에 대해 '환경라벨링제품인증'(環境標志産品認證)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 이는 강제성이 아닌 자원성 인증제도로 해당 인증서를 획득할 경우 중국 정부에서 제품 질량과 환경보호성능에 대해 인가받아 '녹색제품'으로서 판매가 가능해 경쟁력 확보에 유리
- 해외 기업이 '환경표식제품인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① 환경표식제품보장체계문서 ② 해당 체계운행관련 기록(3개월 이상) ③ 생산기업과 대리상의 영업허가증 부본의 복사본 ④ 제품 상표등록 복사본 ⑤ 제품수입 통관신고서 및 기타 증명서 ⑥ 제품의 질량과 안전 및 위생 등 표준 서류 ⑦ 1년 내 자국 내 또는 해외기구에서 검측한 제품질량검사보고서 ⑧ ISO14001 인증증서 또는 EMAS인증증서 ⑨환경표식인증증서 등을 제출하도록 요구함.(http://kjs.mep.gov.cn/zghjbz/rzhcx/)
□ 관세율
○ 중국의 대한(對韓) 합성세제 수입 관세율은 10%, 부가가치세율은 17%임.
□ 주요 유통경로
○ 주로 대리상을 통해 대형 할인매장, 일반 슈퍼, 온라인 쇼핑몰 등의 경로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경우가 많음.
- 대형 할인매장에는 분야별 구매경리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사전상담, 납품 등이 가능함.
- 외국계 대형 할인매장의 경우 높은 가격대에도 기능성 및 친환경 제품에 대한 선호도로 인해 수요가 끊이지 않음.
- 중산층의 급증 및 전자상거래시장 규모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타오바오닷컴(淘寶), 징둥(京東), 이하오디엔(1號店) 등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판매되는 경우가 많음.
- 월마트가 최대 주주인 이하오디엔(1號店)은 2013년 이후로 부상한 중국 최대 온라인 슈퍼마켓(网上超市)으로, 정품 및 보증제도, 즉각 배송제도등을 통해 신용을 쌓아왔으며 특히 생활필수품과 식품에 대한 소비자 평이 좋은 편임.
- 이 외에 중국 내 대표 온라인 쇼핑몰로 꼽히는 티엔마오(天苗), 징둥 등도 신선한 식품과 생활필수품만 전문적으로 파는 코너를 속속 마련
3. 브랜드 동향
□ 경쟁제품(현지업체 및 해외업체, 시장점유율 등)
○ 중국의 세탁용 세제 생산기업은 3대 지역에 집중
- 광둥성(廣東省)을 중심으로 하는 주쟝삼각지대, 상하이와 저쟝(浙江) 및 쟝수(江蘇)를 중심으로 하는 창쟝삼각지대, 베이징시와 톈진시 및 허베이(河北)와 산둥(山東) 등을 중심으로 하는 환발해만지역 등임.
○ 국산 브랜드는 수십 가지가 있으며 전반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편임. 외국계 브랜드 수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우수한 품질과 적극적인 광고투입효과로 소비자 신뢰도가 높음.
- 중국통계정보서비스센터(CSISC)가 온라인상에서 진행한 2013년도 세탁용 세제 인지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P &G그룹의 Tide와 유니레버(Unilever)그룹의 OMO의 인지도는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함.
2013년 중국 세탁용 세제 브랜드별 온라인 인지도 평가지수 현황
자료원: 중국질량신문망(中國質量新聞網)
○ 중국 토종 브랜드인 디아오파이(雕牌), liby(立白), 차오넝(超能), Keon(奇强) 등은 주로 2~3개 대도시와 농촌지역을 공략해 인지도 상승
○ 무인(無磷)세제 위주로 조사한 결과 외국 브랜드 제품 다수가 3㎏ 이상 용량의 포장제품으로 가격대가 40~50위안에 달함.
- 반면, 중국 토종 브랜드 무인세제는 대부분 1.25~3㎏ 미만 포장으로, 10-20위안대 가격에 머무르는 수준
(단위: 위안/중량)
제조업체 | 브랜드 | 가격 | 이미지 | 원산지 |
P&G (미국) | OMO
| 55.00 (4㎏) | 중국 | |
유니레버(Unilever) (네덜란드+ 영국 합자) | Tide | 40.00 (3.8㎏) | 중국 | |
P&G (미국) | ARIEL (碧浪) | 45.00 (3.8㎏) | 중국 | |
飛科(Flyco) | Flyco (중국) | 19.90 (3㎏) | 중국 | |
애경 | 애경 | 98.00 (3㎏) | 한국 |
자료원: 이하오디엔(1號店)
□ 한국제품의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 한국제품의 현지 인지도
- 한국 브랜드로는 애경, 엘지생활건강의 수퍼타이, CJ라이온의 비트 등이 유통되나 OMO, Tide 등 미국, 유럽 브랜드에 비해 한국 브랜드 인지도는 낮은 편임.
- 보통 한국 제품은 한국인 혹은 교포 거주밀집지역의 슈퍼마켓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일부는 인터넷상으로 판매되기도 함.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中國國際日化産品原料及設備包裝展覽會 |
전시회명(한국어) | 중국 국제 일용화학품 원재료 및 설비 포장 전시회 |
전시품목 | 일용 화학품, 화장품과 청결제품 포장재료와 포장설비 |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 중국/광주/1년 |
규모(참가업체수) | 500개 내외(2013년) |
개최기간(2014년) | 2014년 11월 24~26일 |
웹 사이트 | www.cpcde.com |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 중국인은 미국, 유럽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며 한국 브랜드는 삼성, 엘지 등 대기업을 제외한 다른 브랜드에 대해 잘 알지 못함.
- 진출대상 품목의 한국 내 전반적인 시장현황, 브랜드 인지도, 관련 인증획득여부 등에 대해 상세하게 요구하기도 하며, 홍보 또는 광고 투입 등의 비용 지급을 별도로 요구하기도 함.
- 일부 바이어는 중문라벨을 획득 여부에 대해 따지기도 함.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 바이어 발굴 시 ‘무역사기’에 특별히 유의할 필요 있음.
- 특히 일부 허난(河南)에서 외국계 기업인이 현지 탐방 시 무역사기를 벌이는 경우가 종종 있음.
- 따라서 현지 방문을 추천하나 방문 전 바이어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수임.
□ 마케팅 전략 및 타깃 고객층
○ 틈새시장 공략
- 한국산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갈 필요 있음.
○ 인기 TV프로그램의 후원사로 브랜드 인지도 확보
- 현재 중국판 '아빠 어디가', '꽃보다 할배' 등의 인기 프로그램의 단독 후원사로 활동해 브랜드 인지도 확보
○ 브랜드 충성도 향상
- 세제는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제품이므로 대형 할인매장에 입점할 경우 다른 브랜드 제품과 차별화된 기능을 강조하고 정기적인 할인행사로 소비자의 충성도를 향상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음.
'중국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가루세제 자리를 넘보는 액상세제 (0) | 2016.05.13 |
---|---|
중국 세탁세제 시장동향 (KOTRA우한 무역관) (0) | 2016.05.13 |
中 세탁세제시장, 이제는 '액체세제' (0) | 2016.05.13 |
중국 생리대시장, 지속적인 성장세 보여 (0) | 2016.05.13 |
중국 3, 4선 도시 공략 마케팅 방안은? (0) | 2016.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