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중국상업정보망(中商情報网)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1인당 연평균 세탁세제 소비량은 2.5㎏으로 나타남.
○ 2008~2013년 중국 세탁세제 생산량은 598만 톤에서 1030만 톤으로 연 평균 11.6% 증가했음. 그 중 액체세제의 점유 비중은 53%, 고체세제의 점유비중은 47%로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14%, 9.5%임. 액체세제의 생산량 증가속도가 전체 세탁세제 생산량 증가속도보다 빠름.
□ 시장전망
○ 선진국의 1인당 연평균 세탁세제 소비량은 18㎏인 데에 비해 중국은 2.5㎏임. 세탁세제 소비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국제 평균인 7.8㎏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시장 발전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음.
○ 중상정보망(中商情報网)의 예측에 따르면, 최근 중국 가정 내 세탁기 보급확산에 따라 중국의 세탁세제 시장이 향후 5년 동안 연평균 27.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
○ 향후 12억 인구의 중국이 선진국 수준으로 세탁세제를 소비하게 될 경우, 매년 2000만 톤의 세탁세제가 소비될 것임.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소비자 기호 및 구매요인 파악
- 2013년 따오커바바(道客巴巴)의 시장설문조사에 따르면, 중국인이 세탁세제를 구매할 때 가장 고려하는 요소는 1위가 세정력(74.68%), 2위가 가격(67.09%), 3위가 향(54.9%), 4위가 무독성 여부(51.9%), 5위가 의류보호기능(37.97%)인 것으로 나타남. 그 뒤로는 표백능력과 항균력, 기타 순이었음.
□ 수입동향
○ 중국 해관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은 세계 25위의 세탁세제 수입국으로 전 세계 세탁세제 수입량의 1.1%를 차지함.
○ 2011~2013년 중국 세탁세제 수입 규모는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13년 수입액은 전년 동기대비 27.9% 증가한 1억5000만 달러에 달함.
○ 2013년 중국의 세탁세제 수입국 순위로는 독일이 1위(점유율 31.0%), 그 다음은 미국(점유율 23.5%), 일본(점유율 10.2%), 한국(점유율 8.4%) 순임.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일반적인 제품 수출 통관수속을 따르며 기타 특별사항은 없으나 중문 라벨을 부착해야 함.
□ 관세율
□ 유통구조
○ 대리판매제도가 가장 일반적인 유통경로이며, 제조상은 중국 대리상을 통해 중국 현지 시장에 진입함. 이런 방식은 제조상의 유통비용은 낮지만 유통경로 통제가 어려움.
○ 제조상 판매지사제도는 대형 일용품회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유통비용이 높지만 제조상의 유통경로 통제가 쉬움.
○ 중국에서 직접판매 회사 설립 조건이 까다로워 현재 40여 개의 회사만이 직판영업 허가증을 획득함. 세탁세제분야에서는 외국계 기업으로는 미국의 AMWAY가 유일함.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 현재 중국 합성세제시장에는 50여 개의 브랜드가 진출해 있으며, 600여 개 제품이 시중에 유통됨. 50여 개 브랜드 중 상위 10대 브랜드가 전체시장의 75% 이상을 차지하고, 그 중 중국 브랜드인 '란위에량(藍月亮)'은 시장점유율 44%로 3년 연속 1위를 차지함.
○ P&G, Unilever 등 해외 브랜드는 현지 직접투자 형식을 통해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음.
□ 한국제품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인지도
- 아주 높음 ( ) 높음 ( ) 보통 ( √ ) 낮음 ( ) 아주 낮음 ( )
○ 선호 한국브랜드
- 피죤의 액체세탁세제인 ‘액츠(Act'z 超濃縮洗衣液)’가 중국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음.
- 2009년 7월 액체세제인 ‘액츠’를 중국에 출시해 현재 중국 내 대형마트에서 판매되고 있음. 유아용 세제인 ‘액츠 베이비(Act’z Baby 婴儿專用洗衣液)’는 천연 원료로 제작돼 천진시로부터 ‘무자극’인증을 받았음.
- 2010년 1800만 달러를 들여 텐진(天津)에 전자동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텐진피죤일화유한공사(天津碧珍日化有限公司)’라는 기업명을 ‘피죤중국(碧珍中國)’으로 바꿈. 전자동 생산라인의 구축으로 피죤중국은 과거에 비해 500배 이상의 생산능력을 갖추어 연평균 생산액이 50억 위안에 달함.
- 피죤중국은 매년 ‘피죤 엄마체험단’이라는 마케팅 프로그램을 통해 자사의 유아용 세탁세제를 홍보하고 있는데, 중국 여성 사이에서 이슈가 되며 좋은 평가를 받음.
- 현재는 칭다오(靑島), 다리엔(大連), 선양(沈陽), 장춘(長春), 하얼빈(哈爾濱), 베이징(北京), 지린(吉林), 옌지(延吉) 등의 도시에 판매지사를 운영하고 있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고려사항
○ 수입과정에서 세탁세제는 10%의 관세와 17%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됨. 또한 수입 대리 비용(대다수의 기업은 해외에서 직수입하지 않으므로, 전문 수출입 대리업체를 통해야 함), 통관비용, 물류비용 등이 발생하며, 그 외 슈퍼마켓 입점 비용, 바코드비용, 명절비용, 판촉비용 등이 추가적으로 발생함. 따라서 수입 합성세제는 중국시장에서 판매가가 수입원가보다 최소 60% 이상 높아야함. 전자상거래를 통한 판매시 유통원가 절감효과를 볼 수 있음.
□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가격과 품질을 동시에 고려
- 최근 중국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지고 품질이나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품질과 가격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함.
○ 1급 대리상 밀집지역 파악
- 세탁세제 1급 대리상은 대부분 산둥성(山東省)의 칭다오(靑島), 웨이하이(威海) 등 국제 무역이 발달한 지역에 밀집돼 있음.
○ 전자상거래 활용
- 전자상거래를 통한 판매 시 원가 절감효과를 볼 수 있으며, 대형 소매점 입점에 따른 까다로운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없어짐(중국 내 대다수의 소매 체인점은 입점 브랜드에 대한 요구조건이 까다로우며, 브랜드 인지도가 떨어지는 제품은 소매점 입점 자체가 어려움.)
○ 다양한 판매채널 등장
- 현재 중국 합성세제 판매채널이 다양해지고 있음. 최근에는 가정용품 전문 판매점, 일용품 전문 판매점이 주요 유통채널로 부상했고 약국에서도 합성세제가 판매되고 있음.(가정용품 전문 판매점: 최근 중국에서 증가하는 유통점으로 주방세제, 세탁세제, 섬유유연제, 청도구, 방향제 등 가정용 생활용품을 판매함.)
○ 기능성 세탁세제 및 대용량 제품의 수요 증가
- 최근 액체 세제, 친환경 천연세제, 황사용 세제, 유아전용 세제, 살균 세제, 표백 세제, 여행용 세제, 휴대용 세제, 니트용 세제, 속옷용 세제 등 세탁세제의 종류와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음. 특히 중국에 불어닥친 웰빙열풍으로 친환경 천연세탁세제와 천연 유아세제가 주목받고 있음.
- 최근 들어 중국인의 세탁세제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용량대비 가격이 저렴한 대용량 세탁세제의 구매 비중이 증가함.
○ 드럼세탁기 전용 세제 수요 증가
- 중국의 부유층과 중산층이 늘어나면서 드럼세탁기 사용자가 증가함. 이에 따라 드럼세탁기 전용 세제의 수요도 증가함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中國産業信息网), 중국상업정보망(中商情報网), TRADEMAP, 시나왕(新浪网), 타오바오왕(淘网), 따오커바바(道客巴巴), KOTRA 우한 무역관
'중국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 충성도로 살펴본 중국 소비자의 구매패턴 (0) | 2016.05.13 |
---|---|
中, 가루세제 자리를 넘보는 액상세제 (0) | 2016.05.13 |
중국 세탁용 세제 시장동향 (0) | 2016.05.13 |
中 세탁세제시장, 이제는 '액체세제' (0) | 2016.05.13 |
중국 생리대시장, 지속적인 성장세 보여 (0) | 2016.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