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높아진 피부 보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선케어 산업의 발전을 뒷받침 -

- 평균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에서 천연·한방제품 등 전략상품으로 접근 필요 -

 

 

 

□ 자외선과 전쟁 중인 중국

 

  최근 영국 BBC에 소개된 사진으로 중국 동북부 청도 해변에 가면 볼 수 있는 페이스키니(face-kini·얼굴을 뜻하는 페이스와 비키니의 합성어)로 자외선 차단을 위해 착용

  - 자외선 차단에 집착하는 이유는 태양 빛에 그을리지 않은 하얀 피부를 미의 기준으로 보기 때문

  - 우리나라 면세점의 경우 자외선 차단제·BB 크림 존이 따로 마련돼 있을 정도로 중국 관광객의 선호가 높은 편

  최근 국내 시험기관에 의한 자외선 차단지수 시험결과 보고서 인정, 중국 내 자외선 차단지수 상한선 상향, 색소 변경 제품에 대한 시험결과 보고서 제출 간소화, 비특수용도화장품에 대한 수입 제품과 현지 제품 간 위생허가 제도 균등 적용 등 복잡했던 절차가 간소화됐고 중국 정부가 일반 화장품에 부과하는 30%의 소비세를 폐지하는 방안이 추진 중으로 중저가 화장품시장에 대한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

  - 지난 5월에 25개국 500여 개의 기업이 참여한 제19회 상해 국제미용박람회에서 한국 기업은 약 100여 개가 참여했으며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음.

 

□ Sun Care 제품 동향

 

 ○ Datamonitor의 Sun care Innovation Trends에 의하면 중국의 선케어 시장규모는 미국의 뒤를 이어 11억6860만 달러로 세계 2위 시장으로 랭크됨.

  - 중국 선케어시장은 작년 대비 9%의 성장률을 보이며 판매액은 400만 위안에 달함.

  - 자외선 차단의 필요성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최근 소비자의 자외선 인체 유해성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면서 선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음.

  - 특별히 새로운 콘셉트의 After sun 제품의 경우 구매력이 강한 1, 2선 도시에서 구매율이 높은 편이며 작년 대비 11%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최근 3년 및 앞으로의 중국 선케어 판매규모

(단위: 백만 위안)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6

2018

자외선차단제

3357.6

3663.5

3975.5

4248.1

5010.8

6093.0

After Sun

205.4

280.3

312.3

341.2

416.1

523.2

Sun Care

3608.0

3943.8

4287.7

4589.3

5426.9

6616.2

 

            자료원 : 유로모니터(Euromonitor)

  

  - 온라인 쇼핑몰이 화장품 업계에서도 새로운 유통 플랫폼으로 떠오르면서 유명 고가 브랜드부터 저가 브랜드까지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중국인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쇼핑을 통한 화장품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자료원: 중국상업정보망(中商情)

 

  - 현재 타오바오 및 대한 화장품산업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대다수 상품이 자외선 차단기능을 제외하고, 미백, 여드름 케어, 안티에이징 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천연성분의 자외선 차단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After Sun 제품의 경우 아직까지 After Sun에 대한 홍보 등이 부족해 자외선 차단제시장보다 규모는 작지만 인터넷 및 1, 2선 도시에서의 구매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아직까지는 중국 로컬 브랜드보다는 해외 브랜드의 점유율이 높음.

 

중국 인기 자외선차단제(해외브랜드)

 

사진

제품명

제품특징

상표 및 가격

True White Day Protector

(真皙美白隔离霜)

화이트닝과 여드름 케어가 동시에 가능한 데일리 선크림 멜라닌 형성을 최소화하고, 피부 톤을 개선해주며 가벼운 사용감이 특징

Za

용량: 35g

80위안대

  

SPF 50 UV Protecting Fluid

(透修隔离5乳)

가벼운 질감과 UVA와 UVB 모두 차단

피부 색소 침착을 예방, 안티에이징 자외선 차단제

La Mer

용량: 50㎖

900위안대

Ultra Light Daily UV Defence

(爽隔离3乳)

UVA와 UVB를 차단해주는 선크림

인공향료 및 색소를 함유하지 않아 자극이 적으며, 비타민 E를 함유해 보습력이 오래가는 것이 특징

Kiehl’s

용량: 30㎖

300위안대

UV Plus Day Screen HP SPF 40

(透美白防乳)

100% 미네랄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민감한 피부에도 자극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선크림

활성산소를 억제하고, 공해로부터 피부를 보호함.

Clarins

용량: 30㎖

400위안대

 

 

중국 인기 자외선 차단제(중국 로컬 브랜드)

 

사진

제품명

제품특징

상표 및 가격

Whitening&Sun-block cream

(美白隔离防霜)

화이트닝 기능이 있는 데일리 선크림

가벼운 사용감과 커버력이 특징

meifubao(美)

용량: 40g

75위안대

 

Sun Protective Total-Effect Lotion

(多重隔离防乳液)

미백기능을 동시가 가진 진주, 은행나무, 흰 목이버섯 천연 성분이 함유된 선크림

chando(自然堂)

용량: 60㎖

50위안대

Whitening Isolation Sunscreen

(美百隔离防霜)

달팽이 성분이 함유된 보습성분으로 보습력이 오래가는 것이 특징

BEYOC(百幽草)

용량: 40㎖

20위안대

Whitening Sunscreen Lotion

(透白隔离防乳)

천연 해양식물 추출물과 비타민 E가 함유된 모든 피부타입의 선크림

SISEAN(水)

용량: 30㎖

10위안대

 

 

중국 인기 After Sun 제품

 

사진

제품명

제품특징

상표 및 가격

After Sun Aloe Gel

(芦荟晒后修)

알로에 성분으로 화상 및 피부진정에 효과적인 After Sun

Banana Boat

(香蕉船)

용량: 250g

80위안대

Ultrasun After Sun

(后修全效精乳液)

민감한 피부에 사용이 가능한 수분감과 쿨링감을 가진 After Sun

Swiss made

(瑞士药妆)

용량: 150㎖

190위안대

After Sun Maske

(后修面膜)

장시간 햇빛에 노출된 피부를 진정시켜주는 마스크형 After Sun

Schaebens

(雪本)

용량: 10㎖

10위안대

 

자료원: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타오바오,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 고객군별 구매동기 및 경쟁브랜드

 

 ○ 중국에서 화장품을 주로 구매하고 소비하는 연령층은 20, 30대로 온라인 쇼핑에 익숙한 이들의 소비패턴이 반영됨.

 

 ○ 구매 시 고려사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항목은 흔히 예상하는 가격, 효능 등 합리적 요인과는 달리 브랜드와 품질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 화장품시장이 점차 프리미엄시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 현재 중국에서 선케어시장은 주로 NBO(National Brand Owner) 기업이 일찍이 진입해 대부분을 점유하는 상황이며 이 기업의 (Local Brand Name) 제품이 대다수를 차지함.

 

최근 3년간 NBO 선케어 시장점유율

                        (단위: %)

 

NBO 기업

LBN 브랜드

2011

2012

2013

L'Oréal China

L'Oréal Paris

8.6

11.0

11.4

Shiseido China Co., Ltd.

Shiseido

7.0

6.5

5.9

Nivea (Shanghai) Co., Ltd.

Nivea Sun

9.7

10.1

10.6

Hangzhou Mary Kay Cosmetics Co.

Mary Kay

8.1

8.5

8.7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 시사점

 

 ○ 중국 소비자의 외모에 대한 관심 증가 및 구매력 상승, 자외선의 유해성에 관한 소비자 교육에 대한 제조업체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선케어 제품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한류 스타를 이용한 마케팅으로 트렌디하고 세련된 브랜드 이미지는 형성했지만 아직까지 뚜렷하게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는 없는 상황에서 현재 중국 내 다른 해외 브랜드와와 차별화된 한국 화장품만의 고유의 이미지 확보가 필요

  - 최근 놀라운 성장세를 기록하는 중국 브랜드 Haborist, Inherb의 경우 해외 브랜드와 달리 한방성분, 천연 성분, 친환경 성분을 강조해 성공한 케이스로 한국 화장품 또한 한방화장품, 저자극성 제품 전략이 필요(대한 화장품산업연구원 보고서에 의하면 중국인은 향이 순하거나 자극이 적은 제품을 고급 제품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음.)

  - 현재 중국 인터넷 쇼핑몰에서 인기 있는 한국 선케어 제품은 자외선차단제의 경우에는 단순 자외선차단제가 아닌 BB 크림, 팩트 등의 색조화장품이 강세를 보이며 BB 크림의 경우 사용이 간편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부가적 기능이 있기 때문인데 이처럼 자외선차단 기능이 포함된 색조제품 및 영양공급, 안티에이징, 화이트닝과 같은 다기능성 선케어 제품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됨.

 

중국 내 구매율이 높은 한국 선케어 제품

 

제품

브랜드명/가격

UV Mist Cushion

(UV多功能保濕墊粉底霜)

헤라

15g/160위안대

SULWHASOO

Perfect Cushion

설화수

15g/300위안대

 

Precious Mineral BBcream Bright fit

(珍珠亮白BB霜美白裸妝遮瑕强)

에뛰드 하우스

60g/70위안대

 

Soothing&Moisture

Aloe vera

(芦薈晒后修复啫喱膠)

네이처리퍼블릭

300g/30위안대

 

자료원: 타오바오,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 이미 포화상태인 여성 선케어시장 외에도 수요가 늘고 있는 남성, 유아용 제품 시장을 주목할 필요

  - 인터넷 쇼핑몰 및 1, 2선 도시에 초점을 맞추고 남성, 유아용 제품에 대한 교육, 홍보를 통해 시장에 접근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임.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타오바오(淘宝网), 중국상업정보망(中商情報),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Posted by Passy
,

중국이 젊어지고 있다. 중국 안티에이징 시장


- 고령 인구가 증가하며 안티에이징 산업에 대한 수요 증가 -

- 유럽, 일본 등의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 중국 브랜드의 강세 향후 한국 브랜드 약진을 기대 -

 

 

 

□ 점점 떠오르는 안티에이징 시장    

 

 ○ 중국은 2030년부터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기면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 중국의 의료·복지 여건이 개선되면서 중국 위생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이 약 76세로 추정되는데, 이는 1980년 수치보다 약 10세 증가한 수치이며,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중노년층 뿐만 아니라 청년층이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안티에이징 상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

 

 

자료원: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중국위생부(中人民共和国卫生部)

 

 

  - 안티에이징 화장품 시장의 경우 최근《미용시상(美容时尚)》,《봉황망(风黄网)》등과  같은 여러 미용 관련 매체에서 안티에이징 제품을 지속적으로 소개함에 따라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시장임.

 

중국 스킨케어 제품 동향

 

유형

2008-2013

2013-2018

 

연평균 성장률

08년 이후

누적성장률

연평균 성장률

13년 이후

누적성장률  

Body Care

8.2

48.1

4.3

23.2

Firming·Anti-Cellulite Body Care

10.7

66.6

6.5

37.1

General Purpose Body Care

7.2

41.3

3.2

17.1

Facial Care

12.1

77.1

9.0

54.1

Acne Treatments

9.2

55.0

4.0

21.8

Face Masks

15.4

104.4

10.8

67.2

Facial Cleansers

7.4

42.7

4.7

25.7

Facial Moisturisers

10.4

63.9

7.5

43.4

Lip Care

9.7

58.8

6.0

33.5

Anti-Agers

15.8

108.7

12.3

78.8

Toners

16.8

117.0

10.7

66.4

Hand Care

12.1

77.2

8.3

49.2

Premium Hand Care

15.4

104.5

12.0

75.9

Mass Hand Care

11.8

74.5

7.9

46.1

Skin Care

12.0

76.1

8.9

53.1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 유로모니터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 스킨케어시장 중 안티에이징 제품이 가장 크게 성장했으며 향후 시장동향에 대해서도 안티에이징 제품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함.

  - 최근 소득수준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관심이 늘어나면서 화장품을 뛰어넘어 먹어서 피부 및 건강까지 관리하는 화장품 영역과 건강기능성 영역을 포함하는 미용식품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주로 노화 방지 및 피부 탄력을 위한 콜라겐, 히알루론산 성분이 주를 이룸.

  - 보건복지부가 2014년에 발간한 '중국인 성형 의료관광 환자 추이' 보고서를 보면 지난 2009년 791명에 그쳤던 중국인 미용 의료관광객은 2012년 9840명으로 3년 새 12배가 넘게 증가했음.

  - 이처럼 안티에이징을 위한 미용 의료시장 또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안티에이징 시장 동향

 

 ○ 현재 중국 헬스케어 시장규모가 1200억 위안(약 20조 원)에 불과하지만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2020년 시장규모가 400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함.

   그 중에서도 안티에이징(노화방지)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20%로 상당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

 

자료원: 중국자산품질연구원(中国财富品质研),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 상하이와 선전 증시를 통틀어 중국 본토 A주 시장에서 최고가인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台)와 창춘가오신(長春高新)이란 종목이 높은 주가를 보이는데 이 상장사 모두 안티에이징 관련 업체임.

  - 현재 타오바오 및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안티에이징 화장품은 아이크림, 페이셜 케어 제품 이외에도 넥크림, 바디케어, 헤어케어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판매 중임.

  - 중국 국가발전개발위원회에서 2011년에 발표한 ‘식품공업 12·5 발전규획(食品工業十二五發展規劃)’에 따르면 영양, 미용식품 제조업을 국가의 중점 육성산업으로 지정해 2015년 건강보조식품 생산액을 1조 위안으로 늘리기로 했으며 이후 이러한 보조식품산업이 신흥산업으로 부상하고 이에 따른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예상됨.

  - 중국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의 해외관광객은 9730만 명으로 이 중에서 의료관광객의 90%는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치료를 받았으며 주로 노화방지, 성형수술, 미용시술, 항암치료를 목적으로 의료관광을 떠난다고 함.

  - 전문가는 중국인의 소비수준 향상에 따라 향후 10년간 안티에이징 의료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안티에이징 화장품 제품 동향

 

 

사진

상표 및 제품명

제품특징

 추천매체

SKⅡ Skin Signature Eye Cream

(全效活能眼霜)

눈가 피부의 힘을 강화시켜, 탄력 재생에 도움을 줘 생기 있고 어려보이는 눈매로 만들어 주는 것이 특징

MSN시상(MSN时尚)

    

LA MER The Eye Concentrate Treatment

(浓缩眼部精霜)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미라클 브로스‘가 눈가피부를 생기 있게 만들어주고, 다크서클 및 붓기를 진정시켜줌.

장품망

(装品)

    

Estee Lauder Advanced Night Repair Synchronized Recovery Complex II

(ANR即露液)

피부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해 조기 노화 증상을 막아줌.

피부 리듬을 바로 잡아 피부 회복 능력을 최대화

미용시상

(美容时尚)

    

Estee Lauder

Re-Nutriv Ultimate Lift Age-Correcting Creme for Throat and Decolletage(re-nutriv最解除age-correcting奶油)

부드럽고 빠르게 흡수되는 넥 크림으로, 피부의 손상개선 및 생기를 되찾아 주는 리프팅 제품

애미망

()

    

Fuankang

(福安康)

중국의 노령과학연구원이 개발한

중·노년층 전용 화장품

인삼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모세혈관의 혈액 순환을 촉진

미용시상

(美容时尚)

    

Dabao SOD Honey

(大SOD蜜)

SOD(Superoxide Dismutase)

성분이 피부 노화 방지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며, 미세

주름 제거

미용시상

(美容时尚)

 

자료원: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 한국무역협회 보고에 따르면 중국인이 화장품 구매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부분은 흔히 예상하는 가격, 효능 등 합리적 요인과는 달리 브랜드와 품질임.

  - 이처럼 안티에이징 화장품의 경우도 주로 외국브랜드의 화장품이 주로 소비되고 중국 로컬브랜드의 경우 안티에이징 화장품은 초기단계이며 점차 이 시장이 프리미엄시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

 

□ 안티에이징 미용식품 제품 동향

 

 

사진

제품명

제품특징

상표

    

Lumi collagen powder

(Lumi原蛋白粉)

분말형 콜라겐

Lumi

(대만)

    

Swisse HAIR SKIN NAILS

(Swisse液体原蛋白)

액체형 콜라겐 제품

Swisse

(오스트레일리아)

    

Be-Max 2012

(BE-MAX 2012 魔法美容液多功能盘复合精)

액체형 히알루론산 제품

Be-Max

(일본)

    

DHC健康食品食用玻尿酸

캡슐형 히알루론산 제품

DHC

(일본)

 

자료원: 타오바오(淘宝网),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 위의 중국 타오바오 내 인기 미용보조식품을 살펴보면 대다수의 제품이 해외 수입제품이며 한국 제품의 경우 중국 춘절이 있던 지난 2월과 국경절 직전의 9월에 중국에 직접 수입되지 않는 CJ의 InnerB 제품의 매출이 전월 동기대비 200% 성장했다고 함.

  - 실제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불만, 불신이 높기 때문에 수입산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임 한 예로 1만336명이 참여한 한 설문조사에서 34.7%의 응답자가 적정가격 수준에서 신뢰가 가는 외국 제품을 구매하겠다고 대답함.

 

□ 안티에이징 미용의료 관광 산업 동향

 

최근 3년 및 향후 중국 미용의료 관광 판매규모

            (단위: 백만 위안)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6

2018

미용의료 관광

12,729.1

14,298.9

16,017.6

17,522.5

20,977.1

25,089.6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 중국인의 의료관광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임.

  - 특별히 노화방지·성형수술·미용시술을 위해 한국을 찾는 미용 의료관광의 경우, 강남구 성형외과 중에는 환자의 60% 이상이 중국 여성인 곳이 제법 된다고 하며, 아예 한국 환자는 받지 않고 중국 환자만 받는 곳도 있음.

  - 필러나 보톡스의 경우는 얼굴에 칼을 대지 않고 주사를 이용한 간단한 시술만으로도 성형효과를 내기 때문에 갈수록 인기를 끌고 있음.

  - 2012년 500억 원 내외였던 국내 필러시장규모는 올해 1000억 원 가량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 보툴리눔톡신(보톡스)시장 역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데 2009년 500억 원 내외였던 국내 보톡스시장은 지난해 700억 원 내외로 성장함.

 

□ 고객군 별 구매동기

 

 ○ 중국에서 안티에이징 화장품을 주로 구매하고 소비하는 연령층은 20~30대로 온라인 쇼핑에 익숙한 이들의 소비패턴이 반영되어 있으며 안티에이징 화장품의 경우 어린나이 때부터 관리를 해야 효과가 있다는 매체의 소개로 인해 젊은 층의 수요가 주를 이룸.

 

 ○ 중국의 미용보조식품 소비자의 대다수가 여성이며 그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 미용 의료관광의 주요 대상은 20~30대 중국 여성이며 최근 40, 50대 중년층도 증가하고 있고 주름 제거및 피부탄력을 위한 시술을 많이 받음.

  - 가격이 저렴하면 오히려 효과가 좋지 않다는 의식이 있기에 대다수의 소비자가 비교적 비싼 가격임에도 이러한 안티에이징 시술에 대한 소비를 계속 함.

 

□ 시사점

 

 ○ 중국 소비자의 외모에 대한 관심증가 및 구매력 상승, 고령화 및 평균연령 상승이라는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 안티에이징 사업은 향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한국 화장품은 트렌디 하고 세련된 브랜드 이미지는 형성하였지만 한국 화장품을 대표하는 효과나 브랜드는 부족한 상황에서 중국 내 다른 해외 브랜드와 차별화 된 한국 화장품만의 고유의 이미지 확보와 특별히 고가의 안티에이징 화장품에 대해서 전략적 접근이 필요

  - 최근 놀라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중국 브랜드 Haborist, Inherb의 경우 해외 브랜드와 달리 한방성분, 천연성분, 친환경 성분을 강조하여 성공한 케이스로서 한국 화장품 또한 이러한 방식의 안티에이징 화장품 개발 및 판매가 효과적일 것으로 보임.

 

 ○ 이미 포화상태인 안티에이징 식품의 경우 여타 해외브랜드와 같은 상품의 진출 보다는 한국에 특화 된 식품이 전도유망할 것으로 예상됨.

  - 홍삼제품은 중국인이 주로 소비하는 건강보조식품으로써 홍삼 관련제품의 다양화를 꾀하여 미용 상품으로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임.

  - 또한 홍삼 외에도 흑마늘, 석류 등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건강․미용식품 개발이 필요

  - 외국 보조식품의 경우 판매허가증서(保健食品批准證書)취득 및 국가위생부 심사와 같은 수입절차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

 

 ○ 안티에이징 의료산업의 경우 새로운 수출·판매선 개발이 필요함.

  - 중국 내 여러 지역이 의료관광단지 설립을 계획하거나 운영 중이며, 대표적인 의료관광 단지로는 하이난 버아오러청의료관광 선행시범구(海南博鼇樂城國際醫療旅遊先行區), 베이징 국제의료서비스구(北京國際醫療服務區), 상하이 국제의학센터(上海國際醫學中心), 선전 첸하이 선강현대서비스종합합작구(深前海深港現代服務業合作區), 광저우 난사의료건강산업고신구(廣州南沙醫療健康業高新區) 등이 있음.

  - 그 중 베이징 국제의료서비스구는 한국 분당 서울대 국제병원과도 협력 MOU를 체결하였음.

  - 향후 해외 선진설비와 약품수입 외국 전문의료인력에 대한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의료관광산업 육성을 위해 의료설비, 기술, 약품 등에 대한 수입 우대정책을 실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바이두(百度), 타오바오(淘宝网), 중국자산품질연구원(中国财富品质研), 중국위생부(中人民共和国卫生部),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Posted by Passy
,

차별화된 클렌징 제품으로 증가하는 중국 중노년층을 공략하자


- 원산지 인정 등 강화된 수입규정에 철저히 대처해야 -

- 안티에이징 제품으로 증가하는 중∙노년층을 공략 -

 

 

 

□ 중국 화장품 시장

 

 ○ 중국 화장품 시장의 과거·현재·미래

  - 국가통계국데이터(统计据)에 의하면, 2014년 상반기 중국 화장품시장의 소매수입은 886억 위안에 이르고 2013년 대비 10%의 성장률을 보임.

  - 2014년 중국고가화장품브랜드성장률분석(2014年中高端护肤品品牌增析)에 의하면 향후 5년간 중국 화장품 시장의 성장률은 2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됨.

  - 2014년 10월 10일 자 직소보도(直销报道)에 의하면, 2016년까지 고급 화장품 시장의 크기는 400억 위안 가까이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여전히 연평균 15%의 성장속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

  - 중국 내 다른 외국 기업은 12%의 성장률을 달성한 데 비해 한국은 2014년 31%가량의 성장률을 보임.

  - 아모레 퍼시픽 등을 비롯한 한국 화장품 기업은 ‘고급 화장품’시장을 겨냥해 여러 고가 화장품 브랜드를 만들어 시장에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으며 중국에서의 한국 화장품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 한류, 패션∙연예인 넘어 도자기 같은 미(美)로 확대

 

 ○ 드라마 속 연예인 화장법, 피부에 대한 관심

  - 한류에 대한 관심으로 한국 화장법이 유행하며 아이치(搜索) 등 동영상 사이트에 적게는 700여 개, 최대 3만3000여 개 이상 게시되는 등 한국 남녀 화장법 및 피부에 대한 관심 증가

  - 2013년 중한화장품업계 비교분석보고(2013年中品行分析告)에 따르면, 기초 케어제품 중 한국 업계가 약 41.7%를 차지하고 있음.

 

 ○ 기초 케어 수요 증가, 세부적인 피부 케어 관심

  - 피부보호화장품시장분석(中护肤品市分析)의 전국 연령별 화장품 수요부문에 의하면, 전 연령대가 모두 선호하는 ‘촉촉한 계열’의 화장품 다음으로 ‘미백기능’ 화장품이 젊은 층인 20~30대 후반까지 특히 선호됨.

  - 한류의 영향으로 미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해 구체적인 피부 타입별 화장품 수요 증가

 

중국 연령별 화장품 선호별 수요

자료원: 2013년중한화장품업계비교분석보고(2013年中品行分析告),

KOTRA 광저우 무역관 편집

 

□ 관련 법령에 기울여 신경 써야 수출기준 통과

 

 ○ 2012년부터 까다로워진 일반 기능성 화장품 수출 기준

  - 메이크업 제품뿐 아니라 피부에 대한 관심도 증가함에 따라 기초 세안제품, 각질 관리 등 기초 케어제품 구매율 증가 예상

  - 2012년 2월 17일 중국 식품의약청(SFDA)의 ‘비전문용도 화장품에 대한 행정 조치’에 대한 공표에 따르면 피지 분비 조절 및 비듬 제거, 주름방지, 여드름방지, 주름제거, 식물성 에센스 오일, 땀 억제제, 소취제, 화이트닝, 다크써클 완화, 각질 제거제 등을 Type 2 화장품으로 분류해 더 엄격한 요건을 적용함.

 

 

비전문용도 화장품에 대한 행정 조치

 - 일반 화장품과 특수 용도 화장품 등록 데이터 요건은 유사하나, 등록 처리 기관 및 인증 종류로 구분함.

 - 일반 화장품은 데이터 등록 서류 접수 후 5업무일 내에 수입/국산 화장품에 대해 보관기록 증서를 발급함.

 

Type II 화장품

 - Type II 로 구분되는 특수 용도 화장품 품목은 대상 범위 참조.

 - Type II 화장품은 SFDA의 기술 검토에 합격하면 위생 허가증을 발부하며, 보통 발급까지 55업무일이 소요됨.

 - 일반화장품에서 Type II 화장품으로 품목 분류가 변경되는 수입 화장품에 대한 보관기록증서를 갱신하려는 업체는 기존 보관기록증서 만료 4개월 전에 SFDA에 위생허가증 신청 서류를 제출해 등록 변경해야 함.

 - Type II 화장품 위생허가증 발부에 요구되는 서류는 다음과 같음.

    1. Type II 특수 사용 화장품 위생허가증 신청서식

    2. 중국어 제품명 제품 어원

    3. 제품 포뮬러

    4. 제품 생산 공정도 및 간단한 설명

    5. 제품 품질 및 안전 관리 기준 및 절차

    6. 제품 고유 포장(제품 라벨 및 제품 성분 표시표 포함)

    7. 중국 보건부 인증 시험검사 기관에서 발급한 시험보고서(Test Report)

    8. 보고서와 중국의 보건부에 의해 인증 검사 기관에서 관련 데이터를 테스트

    9. 고위험 성분 함유 화장품에 대한 안전성 평가 자료

    10. 중국 책임대리인 사업자등록증 및 위임장(직인)

    11. 광우병 발병 지역 원료 화장품 연료 사용 제한에 대한 선언서

    12. 제품 원산지의 화장품 제조 및 판매 허가 증서

    13. 미개봉 제품 샘플 및 기타 시험 검토용 물질

 

일반 화장품과 Type II 특수용도 화장품

  입술, 눈(무색소 입술 제품 및 아이브로우 제외)

  임산부, 수유여성, 어린이, 아기용 화장품 등 특정 사용자 그룹 대상 제품

  신규 기술 적용 화장품: 유전자 기술, 나노기술

  SFDA가 관리하는 재료 함유 화장품  2012년 기준 29종 발표, 계속 업데이트 예정

 

자료원: 통합무역정보서비스 트레이드네비 - 于征求非特殊用途化品分管理意的函,

药监保化函[2012]57 No. 57-2012

 

□ 클렌저, 3무(無)첨가 제품과 천연성분함유 제품, 다기능 제품이 주력

 

 ○ 다기능 클렌징제품 선호

  - 중국 내 화장품 소매량 증가하며 기본 클렌저를 비롯한 메이크업 리무버 제품 구매 비율 증가 예상

  - 청결기능뿐 아니라 미백, 보습, 주름개선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제품을 선호하며 2014년 발표된 중국화장품시장보고(中品市场报告)에 따르면 미백 기능은 35%까지 차지함.

  - 중국화장품시장보고(中品市场报告)에 따르면 중국 중노년층 비율이 증가함에도 기존의 미백, 보습 등 미용 관련 기능성 클렌저 비율 월등히 높음.

 

 ○ 세분화 정도가 가장 높은 클렌저 제품군

  - 크게 일반 청결 클렌저와 메이크업 리무버로 나뉨.

  - 메이크업 리무버는 클렌징 워터,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등으로 세분화

  - 온라인 쇼핑몰 알리바바(阿里巴巴), 타오바오(淘), 징동(京) 등에서 전체 클렌징 제품 중 일반 클렌저를 제외한 메이크업 리무버 중 클렌징 오일의 판매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비율은 약 55.7%로 약 13.6%의 비율을 차지하는 클렌징 워터에 비해 가장 많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남.

 

 ○ 클렌징 워터(cleansing water)

  - 전체적인 온라인 쇼핑몰에 10% 내외의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함.

  - 대부분 유럽이나 일본 등 외국제품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랜드는 프랑스 제품 바이오더마로 업데이트된 클렌징 워터 중 약 80% 이상을 차지함.

  - 약 70% 이상을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

 

메이크업 리무버 - 클렌징 워터

 

브랜드/제품명

국명

사진

가격

비고

Bioderma()/

클렌징워터

(舒洁肤液卸水)

프랑스

228위안

(500㎖)

 - 민감성, 중복합, 수분부족형, 건성별로 나뉘어 있음.

 - 산뜻함이 특징

 - D.A.F 국제 특허 성분이 피부 자생력을 강화

 - 세안제 필요없이 화장을 깔끔하게 지워줌.

ALOVIVI클렌징황후

(卸皇后)/

사합일클렌징워터

(四合一洁肤液卸水)

일본

55위안

(500㎖)

 - 무활성제, 무향료, 무색소, 무알코올, 저자극이 특징

 - 얼굴, 눈화장 모두 가능

 

자료원: 알리바바(阿里巴巴), 1호점(1店), 바이두(百度)

 

 ○ 클렌징 오일(cleansing oil)

  - 메이크업 리무버 제품군 중 약 55.7%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보편화됨.

  - 클렌징 워터처럼 가장 많이 쓰는 브랜드가 정해져있지 않고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사용

  - 한국 브랜드도 많이 사용하지만 알리바바, 타오바오, 징동 등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된 정보에 의하면 한국 브랜드 중 약 60%가 더페이스샵, 이니스프리 등 로드숍 제품이고, 한국제품을 제외한 전체 클렌징 오일 중 70%는 메이블린(MAYBLINE), DHC, L'OREAL, 중국 브랜드 등 중국 자국 브랜드 및 기타 유럽이나 일본 브랜드 등이 점유

 

메이크업 리무버 - 클렌징 오일

 

브랜드/제품명

국가

사진

가격

비고

KanS /

 한슈감람나무

클렌저

(束橄)

중국

99위안

(200㎖)

 - '그리스에서 온 올리브 신의 물'이라는 타이틀로 천연성분 강조

 - 무자극, 모공을 섬세하게 닦아냄. 보습효과

 - '동양피부에 가장 잘 맞는 클렌저' 광고

 - 중금속, 광물유, 방부제, 기름찌꺼기 없음.

DHC /

감람나무

클렌징오일

(橄油)

일본

 

145위안

(200㎖)

 - 무(無)향료, 무(無)색소

 - 천연성분 첨가

 - 광물유, 석유표면활성제 무첨가

 

자료원: 알리바바(阿里巴巴), 1호점(1店), 바이두(百度)

 

 ○ 클렌징 크림(cleansing cream)

  -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약 10% 내외의 낮은 비율로 점유하고 있음.

  - 사용 후 얼굴을 닦아내는 클렌징 도구와 함께 구매하는 성향이 있고 클렌징 마사지 겸용하는 제품이 약 60% 이상임.

 

메이크업 리무버 - 클렌징 크림

 

브랜드/제품명

국가

사진

가격

비고

RMK / 장미꽃 클렌징밤

(玫瑰洁肤凝霜)

일본

198위안

(100g)

 - 클렌징 마사지 사용 가능

 - 모든 메이크업을 한 번에 지울 수 있음.

 - 밤 타입으로 손의 열로 녹여 닦아냄.

이브롬 (Eve Lom) / 전능한 클렌징밤

(全能急救面膜)

영국

465위안

(100g)

 - 독특한 마사지 팩이 포함돼 마사지를 하며 팽팽하게 만들고 깨끗하게 제거

 - 각질제거 효능

 - 특수한 장뇌산성분으로 피곤한 근육과 피부개선에 효과

 - 균등한 피부색을 만들어 깨끗하고 매끄러운 피부를 가질 수 있음.

 - 헐리우드 스타가 많이 사용하는 제품으로 홍보 효과

 

자료원: 알리바바(阿里巴巴), 1호점(1店), 바이두(百度)

 

□ 일반적 클렌저가 대다수, 기능성 클렌저 인기

 

 ○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클렌저

  - 각질제거, 모공관리, 미백, 수분 등 세분화된 종류 많지만 특히 미백효능 제품을 가장 많이 선호함.

  - 메이크업 리무버처럼 특정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은 보이지 않고 약 64%가 중국 브랜드임.

 

일반 및 기능성 세안제

 

브랜드/제품명

국가

사진

가격

비고

지옌(肌)/맨소래담 지옌각질제거버블클렌징폼(曼秀雷敦肌卵肌去角质洁面泡沫)

중국

85위안

(160㎖)

 - 각질제거 폼클렌징

 - AHA 및 BHA등 각질을 부드럽게 하는 성분첨가

 - 블랙헤드 및 모공 속 때를 제거해 어둡고 까칠한 피부를 개선

SCENTIO / 우유미백보습클렌징폼 (牛奶美白保湿洁面乳)

태국

20위안

(100㎖)

 - 깊은 우유향

 - 우유 성분으로 미백

 - 거품이 부드럽고 매끄러워 깨끗이 씻김.

 - 씻고 난 후에도 편안

 - 붉은 피부에 도움

 - 코엔자임 Q10성분 포함

푸코마리(菩古玛丽) / 푸코마리클렌징폼(菩古玛丽洗面奶)

중국

60위안

(100g)

 - 피부의 수분과 유분의 균형을 맞춰줌.

 - 노화된 각질을 제거

 - 피부탄력

 - 기름진 얼굴을 상쾌하게 해 모공을 막히게 하지 않음.

Dr.CHNSKIN / 가볍고부드러운물에너지세안제(水能量舒柔面乳)

중국

48위안

(100g)

 - 가볍고 부드럽게 근육과 피부 표면의 먼지때와 피부 심층의 유지때를 씻어줌.

 - 빙하광물 정화, 천연식물 추출성분 포함.

 

자료원: 알리바바(阿里巴巴), 1호점(1店), 바이두(百度)

 

 ○ 중국시장에 진출한 한국제품

  - 순수 천연을 추구하고, 한방을 첨가한 제품이 많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음.

  - 알리바바(阿里巴巴), 타오바오(淘), 징동(京) 등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된 전체 클렌징 제품 중 약 30% 내외정도로 점유하고 있음.

  - 국내 유명 브랜드가 약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지만 그 외의 국내 브랜드도 제품군 별로 다양하게 상위 20% 내외의 판매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에 진출한 한국 제품

 

브랜드 / 제품명

사진

가격

비고

헤라 /

미백보습 클렌징폼

 (高效美白保湿洗面奶面)

135위안

(200㎖)

 - 과잉피지와 모공 속 노폐물을 탁월하게 제거

 - 홍조류를 발효해 추출한 섬유 성분인 마린파이버가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

 - 피니돌 성분함유로 매끄러운 피부로 유지

 - 모링가씨앗, 센타우리성분 포함

마몽드 /

연꽃마이크로 클렌징폼

(清莲净澈保湿洁面乳)

65위안

(100㎖)

 - '정화의 꽃, 연꽃'을 특색으로 내세움.

 - 연꽃의 정화력에 고련피추출물을 첨가해 미세먼지와 중금속 등 노폐물을 제거

 - 미량의 소금을 첨가해 피부를 보호하고 정전기적 인력으로 미세먼지까지 흡착

 - 4FREE: 광물성 오일, 동물성원료, 합성색소, 설페이트류 계면활성제

설화수 /

순행클렌징폼

(行洗面奶)

    

188위안

(200㎖)

 - 자음단과 한방 성분을 처방해 피부의 조한현상 다스림.

 - 부평초와 율피추출물성분을 첨가해 피부에 수분 공급

 - 풍부하고 부드러운 거품으로 피부 노폐물 말끔하게 클렌징

이니스프리 /

제주화산송이클렌징폼

(火山岩泥毛孔深

清洁洗面奶)

55위안

(150㎖)

 - 제주화산송이 캡슐이 피부 속 노폐물 제거, 피지 흡착

 - 제주화산송이, 귤껍질추출물, 백년초열매추출물, 난추출물, 동백나무잎 추출물 성분 등 포함

스킨푸드 /

블랙슈가 클렌징버블폼

(黑糖光采泡沫面乳)

    

130위안

(160㎖)

 - 흑설탕 성분이 함유

 - 피부에 수분과 활력을 줌.

 - 사용 시 거품 형태로 나와 따로 거품을 낼 필요가 없음.

 

자료원: 알리바바(阿里巴巴), 1호점(1店), 바이두(百度), 징동(京)

 

□ 시사점

 

 ○ 관련 법령 등 꼼꼼히 확인해 수입규제 해결 방안 필요

  - 천연 성분 및 한방 성분이 다량 함유된 한국 제품이 인기지만 강화되는 수출 절차에 따라 성분 함량과 원산지 인정 규정 등에 대한 제출 서류와 수출 절차 등 엄격하게 따져 진출해야 함.

  - 중국의 화장품 수입규제 강화에 따라 무자료 거래, 짝퉁 등을 비롯한 상표권 문제를 경계할 만한 빠른 등록과 참신한 네이밍 등 다양한 규율과 대책 방안 필요

 

 ○ 브랜드별 뚜렷한 대표 제품군 부족

  - 한류의 영향으로 광고효과를 보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류의 열풍만큼 기타 화장품을 비롯해 클렌저 시장 역시 이미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시장이 이미 약 각각 30%, 30%, 20% 정도 내외로 장악하고 있어 한류 광고만으로 먼 미래까지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

  - 무(無)첨가, 과일추출 성분 등은 이미 외국 기업과 중국에서 유명한 한국 기업도 오래전부터 많이 점유하고 있음.

  - 제품군별로 1순위, 2순위 선호하는 특정 브랜드가 정해져 있음.

  - 클렌징 워터 브랜드 중 바이오더마(bioderma), 클렌징 오일 브랜드 중 DHC 등과 같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한국 브랜드 중 대표적인 제품 없음.

 

 ○ 기존 액체, 고체류 클렌저 외에 클렌저 기구 개발 유망

  - 2014년 중국고가화장품브랜드성장률분석(2014年中高端护肤品品牌增析) 등 여러 논문에 의하면 앞으로 중국의 화장품 시장이 더욱 성장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메이크업 리무버 등 클렌저 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됨.

  - 중국 연예인 펑리위안의 진동클렌저 사용으로 한국 브랜드 토니모리(TONYMOLY)의 진동클렌저 인기가 급증한 것으로 보아 기존 클렌저 제품 비롯한 여러 클렌저 기구의 진출 유망

  - 한국연예인만 내세워 광고하는 것보다 친숙한 중국 연예인을 모델로 내세운 현지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중노년층 비율 증가에 대한 마케팅 전략 필요

  - 중국 화장품시장보고(中品市场报告)에 따르면 중국은 갈수록 중노년층 비율이 증가하지만 중노년층이 선호하는 주름개선, 노화방지 제품보다 아직까지 20대, 30대 등 젊은 층이 선호하는 미백, 보습 등 미용 위주의 제품군이 허다함.

  - 현재는 젊은 층이 주 소비자군이지만 주름개선, 기미방지, 탄력 등의 젊은 세대뿐 아니라 중노년층 등 다양한 연령대를 공략하는 마케팅 전략을 세워볼 수 있음.

  - 중국화장품시장보고(中品市场报告)에 따르면 현재 중국시장 내에도 자국 브랜드 중 발빠른 브랜드는 세대분석을 통해 이미 중노년층을 공략하기 위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음.

Posted by Pass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