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 경제관련 논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시 분류법 중 하나인 소위 ‘1,2,3,4線 도시’개념은 원래 부동산 시장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로서 현재는 도시의 종합 경쟁력 또는 지위를 나타내는 의미로 흔히 통용되고 있음.
ㅇ 단, 구체적으로 어떤 도시가 1,2,3,4선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는 동 분류법을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상이
2. 한편, 상기 도시 분류 개념(1,2,3,4선)의 구체내용에 관한 당관 질의에 대해 중국 통계국은 아래와 같이 답변해옴.(이하 중국 통계국 언급 인용)
ㅇ 전문가나 학자들이 부동산 시장 현황 분석 등의 목적으로 소위 ‘1,2,3,4선 도시’의 개념을 사용하고는 있으나, 이에 관한 엄격한 통일적 정의는 존재하지 않음.
ㅇ 중국 통계국은 대표적인 70개 도시의 주택 판매가격을 매달 조사하는바, 연구의 편의상 동 70개 도시를 1,2,3선 도시로 분류하고 있음. (1,2,3선도시 外 도시는 전부 4선 도시)
* 70개 도시는 경제력, 주택 교역량, 도시 규모, 인근 지역으로의 파급력 및 지역대표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70개 도시 명단은 2005년도에 선정한 것임.
- 1선 도시(4개): 북경, 상하이, 광저우, 선전
- 2선 도시(31개)
· 직할시(2개) : 천진, 중경
· 각 성의 수도(25개) : 티벳 자치구의 수도 라싸는 불포함
· 부성급(副省級) 단독계획도시(計劃單列城市)(4개): 대련, 닝보, 하문, 칭다오
- 3선 도시(35개)
3. 상기 관련, 중국 행정구역상 도시 분류는 다음과 같음.
* 행정구역의 위계는
△省級 행정구역(직할시, 성) → △地級 행정구역(부성급시, 지급시) → △ 縣級 행정구역(현급시, 현, 시 직할구) → 鄕鎭級 행정구역(진, 향 등) 등으로 편성
ㅇ 직할시(直轄市) (4개) : 省과 동일한 지위를 향유하며 중앙정부에서 직접 관할하는 도시
- 북경, 상해, 천진, 중경
ㅇ 부성급시(副省級市) (15개) : 행정상 省의 관리를 받으나 그 지도자는 省의 지도자와 동일한 대우를 받으며, (경제부문 중) 재정이 독립되어 있고‘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계획’수립시 省과 동등한 권한 보유
- 부성급시에는 성도(省會) 10개 및 단독계획도시 5개 포함
- 하얼빈(흑룡강성), 장춘(길림성), 선양(요녕성), 제남(산동성), 남경(강소성), 항저우(저장성), 광저우(광동성), 우한(호북성), 청뚜(사천성), 시안(섬서성), 대련, 칭다오, 닝보, 하문, 선전
* 단독계획도시(計劃單列城市)는 부성급시 중 성도가 아닌 도시 5개(대련, 칭다오, 닝보, 하문, 선전)를 의미
ㅇ 지급시(地級市) (285개) : 모든 부문에서 省의 관리를 받는 도시로서 상기 부성급시에 포함된 10개 도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성도(省會)는 지급시에 해당
ㅇ 현급시(縣級市) (368개) : 지급시의 관할 하에 있으며, 아래로는 향(鄕) 및 진(鎭)을 관할함. (단, 16개 현급시는 省 또는 자치구의 직접 관할 하에 있음.)
'중국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조원 중국 화장품 시장, 해외 브랜드 각축장 (2) | 2016.06.10 |
---|---|
2015년 31개 지역 GDP 총액 순위 (0) | 2016.05.27 |
[기사] 대한민국 화장품, 중국 역(易)직구몰에 몰린다 (0) | 2016.05.13 |
KFC도 벤치마킹하는 중국 샤브샤브 업체 '하이디라오'의 FUN 경영 (0) | 2016.05.13 |
중국 세제 10대 브랜드 (0) | 2016.05.13 |